PM4 [서평단] 현장 중심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제이펍 출판사에서 모집한 서평단에 당첨되었다. 서비스기획, PM, PO 직무를 준비하면서 사이드로 팀 프로젝트를 리딩해보기도 했는데 프로젝트 매니징에서 굉장히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리소스를 투입하면서 프로젝트 매니징 스킬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이번 서평단을 신청해서 읽게 되었다.원래는 2~3번 읽고, 챕터 하나하나 자세하게 서평을 남길 생각이었지만, 최근 회사에서 시급한 프로젝트를 담당하면서 당장 읽기에 급급해서 전체적인 평가를 남긴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4737338 현장 중심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하시모토 마사요시 - 교보문고현장 중심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에 필요한 핵심 스킬과 사고방식을 한 권에 담았다.. 2024. 12. 15. 기획의 시작은 문제 정의부터 문제 정의가 중요한 이유 어떤 기획이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존재할 것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을 하게 된다. 기획을 시작하면서 문제를 먼저 정의하는데 이 정의가 기획의 방향을 만든다. 문제 정의가 잘못되면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게 되는 것이다. 또 문제 정의가 두루뭉실하면 쓸데없는 해결책이 붙는다. 서비스 기획을 하다가 “어 이 기능도 있으면 좋겠는데?”라는 생각에 이 기능, 저 기능이 붙여본 경험이 있지 않은가? “북쪽으로 가면 돼” 처럼 두루뭉실하게 문제를 정의하면 경유지가 늘어나다가 길을 잃게 되는 거 같다. 우리는 “북쪽에 보이는 저 산의 정상까지 가자”처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길을 나서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OKR, 북극성 지표라는 것이 나오는 것 아닐까? 문제 정의.. 2024. 4. 19. 서비스기획에 대하여 feat. 양천 JOB 콘서트 우연히 양천 청년 일자리카페에서 진행하는 JOB 콘서트를 알게되어 참여하게 되었다. 현실적인 서비스 기획 직무로의 취업 과정, 업무 내용 등을 알 수 있어서 굉장히 만족도가 높아 이렇게 블로그에 정리한다. 멘토님으로 네이버 클라우드와 카카오 엔터프라이즈에서 서비스 기획 직무로 근무하고 계신 현업자 두 분께서 오셨다. 여기서 나온 전반적인 얘기들과 함께 내 생각을 정리해본다. 서비스 기획자란? 사람마다 말이 조금씩 다르지만 결국 서비스 기획자란 한문장으로 정의하면 사람들의 Painpoint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람 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한 문장으로 정의해서 "서비스기획"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은 여전히 무슨 일을 하는지 알 수 없을 것이다. 여기에 조금 더 디테일하게 설명하자면 서비스 기.. 2023. 10. 23. [Toss PO session] Carrying Capacity란? 취업을 준비하면서 토스의 이승건 대표님의 PO 세션을 다시 한번 듣게 되었다. 토스 유튜브 - "PO Session: 이 개념을 알면 PO의 실패는 줄어듭니다." 과거 첫 영상을 보고 감탄했지만 이후 영상은 보지 않았는데 이번에 틈틈이 하나씩 시청하고, 내 나름대로 정리를 해보려 한다. 이 영상에서 알아야 할 개념은 단 하나 '''Carrying Capacity'''다. 이후에는 “CC”로 기술하겠다. Carrying Capacity 원래 생태학에서 쓰이는 용어이다.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특정 환경에서 유지될 수 있는 생물학적 종의 최대 인구 크기 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의 이를 IT서비스로 가져와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승건 대표님은 “내 서비스가 도달할 최종적인 유저수”라고 정의했다. 해당 영상을 보고 .. 2023. 10.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