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 [서평단] Do it! 플러터 앱 개발&출시하기 이지스퍼블리싱에서 모집한 서평단에 당첨되었다.얼마 전에 서평을 작성한 서평단과 기간이 겹쳐서 둘다 읽는데 꽤나 고생을 했다. 본격적으로 서평을 하기 전에 나는 개발을 할 줄 아는 서비스기획자다.내가 기획한 서비스를 직접 개발해서 세상에 내놓으려고 현재 프로젝트를 구상 중이다.지속적인 사용에 유리한 모바일 앱에 관심이 많고, 그 중에도 안드로이드, IOS를 한번에 개발할 수 있는 플러터를 주목하고 있다.과거에는 네이티브 앱보다 성능이 떨어져서 조금 꺼리는 경향이 없잖아 있었는데 지금은 많은 발전이 이뤄져 어지간한 기능에서는 성능 차이를 느낄 수 없다고 한다. 안젤라유의 플러터 강의로 공부하면서 플러터앱을 개발해 졸업 작품을 내기도 했는데 서평단에 신청해서 다시 공부하기로 한 이유는 플러터를 사용할 당시.. 2025. 7. 16. [서평단] MCP로 똑똑하게 일하는 법 제이펍 출판사에서 모집한 서평단에 당첨되었다.서비스기획 직무로 일을 하면서 기획 문서 작성과 같이 비교적 단순 업무를 할 때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민이 항상 있었다.ChatGPT나 Gemini로는 디테일이나 사용성이 충족되지 않았고, Anthropic에서 발표한 MCP로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MCP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어 이번 서평단에 신청했다. 구성목차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AI 에이전트가 만드는 세상AI 에이전트를 가능하게 하는 MCPMCP 실전 활용 가이드MCP를 더 똑똑하게 쓰는 법나만의 MCP 서버 만들기AI 에이전트와 MCP의 미래 이 책의 타겟은 비개발자이다. 요즘 LLM이 많이 발전하면서 바이브 코딩이 많이 각광받고 있는데 개발 직무가 아니라도 업무에 IT 기.. 2025. 7. 12. [서평단] 현장 중심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제이펍 출판사에서 모집한 서평단에 당첨되었다. 서비스기획, PM, PO 직무를 준비하면서 사이드로 팀 프로젝트를 리딩해보기도 했는데 프로젝트 매니징에서 굉장히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리소스를 투입하면서 프로젝트 매니징 스킬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이번 서평단을 신청해서 읽게 되었다.원래는 2~3번 읽고, 챕터 하나하나 자세하게 서평을 남길 생각이었지만, 최근 회사에서 시급한 프로젝트를 담당하면서 당장 읽기에 급급해서 전체적인 평가를 남긴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4737338 현장 중심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하시모토 마사요시 - 교보문고현장 중심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에 필요한 핵심 스킬과 사고방식을 한 권에 담았다.. 2024. 12. 15. 기획의 시작은 문제 정의부터 문제 정의가 중요한 이유 어떤 기획이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존재할 것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을 하게 된다. 기획을 시작하면서 문제를 먼저 정의하는데 이 정의가 기획의 방향을 만든다. 문제 정의가 잘못되면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게 되는 것이다. 또 문제 정의가 두루뭉실하면 쓸데없는 해결책이 붙는다. 서비스 기획을 하다가 “어 이 기능도 있으면 좋겠는데?”라는 생각에 이 기능, 저 기능이 붙여본 경험이 있지 않은가? “북쪽으로 가면 돼” 처럼 두루뭉실하게 문제를 정의하면 경유지가 늘어나다가 길을 잃게 되는 거 같다. 우리는 “북쪽에 보이는 저 산의 정상까지 가자”처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길을 나서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OKR, 북극성 지표라는 것이 나오는 것 아닐까? 문제 정의.. 2024. 4. 1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