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

서비스기획에 대하여 feat. 양천 JOB 콘서트

by LazyPM 2023. 10. 23.

우연히 양천 청년 일자리카페에서 진행하는 JOB 콘서트를 알게되어 참여하게 되었다.

현실적인 서비스 기획 직무로의 취업 과정, 업무 내용 등을 알 수 있어서 굉장히 만족도가 높아 이렇게 블로그에 정리한다.

 

멘토님으로 네이버 클라우드카카오 엔터프라이즈에서 서비스 기획 직무로 근무하고 계신 현업자 두 분께서 오셨다.

여기서 나온 전반적인 얘기들과 함께 내 생각을 정리해본다.

 

서비스 기획자란?

사람마다 말이 조금씩 다르지만 결국 서비스 기획자란 한문장으로 정의하면

사람들의 Painpoint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람 

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한 문장으로 정의해서 "서비스기획"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은 여전히 무슨 일을 하는지 알 수 없을 것이다.

 

여기에 조금 더 디테일하게 설명하자면

출처: 그로스쿨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JD에 흔히 적힌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로는

  • 프로젝트 관리
  • UX화면 기획, 설계 문서 작성
  • 커뮤니케이션
  • 데이터 분석

이런 것들이 있다.

 

이번 JOB 콘서트에서 발표해주신 멘토님들께서는 특히 서비스 기획자로써 많이 느낀 점은

디자이너, 개발자, 사업부 사이의 통역사와 같은 역할

이라는 것이다.

디자이너, 개발자, 사업부는 각각 다른 사고방식과 다른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획자가 통역사처럼 중간에서 소통을 도와야하며, 때로는 설득하고, 조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통역사의 역할을 하려면 당연하게도 그들 모두의 사고방식과 용어에 대해 어느정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요즘 기획자를 위해 나오는 책들 중에는 비즈니스 용어나 디자이너와의 소통을 위한 책보다 IT 용어에 대한 책이 훨씬 많은 것을 보면 특히 개발자와 소통할 때 어려움을 많이 겪는 거 같다.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루틴

이번에 듣고 정리해본 업무 루틴은 다음과 같다.

  1. 문제점 파악(인터뷰, 데이터, VoC)
  2. 문제 정의
  3. 해결방안 도출
  4. 해결방안 구체화
  5. 프로토타이핑 등을 통한 검증
  6. 프로덕트 제작 관리
  7. 브랜딩
  8. 런칭 및 홍보
  9. 운영
  10. 지표 분석
  11. 개선

 

저 루틴 중에 기업이라면 중간에 보고하고 결재받는 과정과 성과보고가 추가될 것이다.

 

여기서 참고할 점은 저 업무 루틴은 하나의 업무에 해당하는 루틴이다. 한번에 하나의 업무만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번에 네이버 클라우드 기획자 분의 말씀에 따르면 여러 업무가 병렬로 동시에 진행될 때가 많다고 한다.

A, B, C 업무가 있다면

A의 운영, B의 프로덕트 제작 관리, C의 문제정의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자 그럼 이러한 업무를 하는 서비스 기획자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서비스 기획자에게 필요한 역량

Soft Skill(Mind) - 자기소개서

  • 사용자 중심적 사고 - 사용자의 입장에서 불편한 점을 찾고, 설계하는 사고
  • 유연한 사고 -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는 넓은 시각(IT 서비스는 네트워크가 끊긴다던지 업데이트를 하지않아 생기는 등의 변수가 많다.)
  • 설득 능력 - 팀원, 유관부서 동료에게 나의 기획을 설득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 구조적 정리,  논리력
  • 리딩 능력 -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 등 다른 전문가들이 나의 기획에 맞게 작업할 수 있게 서포트하고, 일정에 맞춰서 작업을 마칠 수 있게 관리해야 하고, 합리적인 결정을 잘 내릴 수 있어야 한다.

 

Hard Skill(Knowledge, Tool) - 포트폴리오

  • UX 지식 - 행동심리학, UX 세미나, 뉴스, 경쟁사 벤치마킹 등을 하며 트렌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탐구를 해야 한다.
  • 데이터 분석 - GA, GTM 등을 직접 의도에 맞게 설계하고, 적용하며, 여기서 나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토타이핑 도구 - 개발자, 디자이너에게 내 기획을 자세히 설명하거나 검증을 위해 고객을 인터뷰할 때 내 기획을 가장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 프로토타입이다. 이런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 있는 도구인 Figma, adobeXD, Sketch 중 하나는 할줄 알아야 할 것이다.
  • 협업 도구 - Notion, Slack, Jira 등 많은 협업 도구들이 있는데 이 또한 팀원과의 소통,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익혀놓으면 좋을 것이다. 특히 Notion은 활용도가 높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 경험과 프로젝트를 정리해보면 좋을 거 같다.

 

그 전에 이렇게 많은 업무를 해야하고, 책임감이 필요한 서비스 기획을 하고싶은 이유가 무엇인지 개인적으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은 거 같다.

 

 

 

이 글을 작성하면서 참고한 브런치가 서비스기획 직무에 대해서 아주 파악하기 좋게 정리되어 있어서 공유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https://brunch.co.kr/@supernova9/204

 

[1편] 서비스 기획의 A-Z란 뭘까?

[처음 만나는 서비스 기획] 1편 | 신입 기획자 교육용으로 만들었던 자료입니다. 기획이 처음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총 3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 오! 가고 싶은 기업의 서비스

brunch.co.kr

https://brunch.co.kr/@supernova9/205

 

[2편] 서비스 기획의 A-Z란 뭘까?

[처음 만나는 서비스 기획] 2편 | 신입 기획자 교육용으로 만들었던 자료입니다. 기획이 처음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총 3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 1편 : https://brunch.co.kr/@supernov

brunch.co.kr

https://brunch.co.kr/@supernova9/206

 

[3편] 서비스 기획의 A-Z란 뭘까?

[처음 만나는 서비스 기획] 3편 | 신입 기획자 교육용으로 만든 자료입니다. 기획이 처음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총 3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 1편 : https://brunch.co.kr/@supernova9/20

brunch.co.kr

 

 

개인의 성장과 정보 공유를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있거나 다른 의견이 있다면 얼마든지 댓글을 달아주세요!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