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으른 PM입니다.
면접 본 채용연계형 인턴에는 결국 불합격하고, 코멘토에서 운영하는 미래내일 일경험 지원사업에 참여했고 오늘 수료했습니다!
그래서 7주간 열심히 달렸던 프로그램 후기를 남기려고 합니다.
면접 후기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이전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
2023.10.26 - [취업] - 미래내일 일경험 지원사업 X 휴맥스 모빌리티 면접 후기
미래내일 일경험 지원사업 X 휴맥스 모빌리티 면접 후기
안녕하세요! 게으른 PM입니다. 요즘 얼어붙은 취업시장에 다들 많이 힘드시죠?ㅠㅠ 저도 많이 힘듭니다... 그래도 힘내보자구요. 제가 교육은 많이 받았는데 인턴 경험이 따로 없어서 성과를 내
lazypm.tistory.com
업무 내용
저는 기획 직무로 지원해서 ChatGPT를 활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기획을 택했습니다.
휴맥스 모빌리티의 서비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 ChatGPT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기획하는 업무를 진행했어요.
시장조사, Painpoint 도출부터 IA, 기능정의서, 화면설계서 등 산출물 작성을 주차별로 나눠서 진행해요.
휴맥스 모빌리티의 현업 PM분께 매주 보고 드리고 피드백을 받았어요.
일정
먼저 일경험 지원사업의 일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1주차. 직무 공통 교육
: 기획뿐 아니라 마케팅, HR, SW개발 등 많은 직군이 있는데 직장인이라면 공통적으로 필요한 지식, 스킬에 대해서 배웁니다.
2주차. 직무 심화 교육
: 각 직무별로 특화된 교육을 배웁니다. 기획의 경우 모빌리티와 AI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주고, 기획안을 간략하게 작성해봅니다.
3~7주차. 일경험
: 주 1회 실무자와의 미팅을 통해 업무를 요청받고, 4일간 업무를 진행하고, 다음 미팅에서 보고하고 피드백을 받습니다.
기본 업무 방식
조 편성
기본적으로 5인 1조로 업무를 진행합니다.
이때 조는 OT 때 결정되는데 이대로 7주간 쭉 진행해요.
다른 기수는 모르겠는데 이번에는 이름을 가나다 순으로 정렬해서 조를 편성한 거 같아요 ㅋㅋㅋㅋㅋ
업무 환경
100% 비대면으로 ZEP에서 모든 것을 진행했습니다.
여기서 교육도 듣고, 업무도 하고, 회의도 하고, 보고도 했습니다.
업무 시간
유연근무제를 하고 있어서 10~18시 사이에 5시간 연속으로 근무할 수 있는 시간을 선택하면 됩니다.
물론 12~1시는 점심시간이라 근무시간에서 제외됩니다.
저는 그래서 10시부터 16시까지 근무했습니다!
저희 조원분들도 학교를 다니고 계시는게 아니라면 일찍 10시에 출근하셨어요!
보고
카카오의 협업 툴인 Agit를 사용해서 업무보고, 공가, 결석 신청 등 문서를 제출합니다.
공지사항도 여기를 통해 이뤄집니다.
함께 일하는 즐거움, 우리들의 아지트
아지트는 팀의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agit.in
업무 보고는 개인, 조 별로 진행되는데
개인
일일: 학습노트(교육 기간), 일일업무 보고(일경험 기간)
주간: 주간업무보고
조(일경험 기간)
주간: 업무요청분석, 업무추진계획, 최종 업무 보고, 일경험 회의록
조별로 하는 보고는 조장이 대표로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주차별 커리큘럼
Week 1
성향찾기, 세대 상호 존중 방법, 협업, 비즈니스 매너, 로지컬씽킹, 기업재무/회계 기초, 문서 작성 및 보고 스킬, 기초 노동법 및 근로기준법에 대해서 배웁니다.
이 중에서 비즈니스 매너, 문서 작성 및 보고 스킬, 기초 노동법과 같은 내용을 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
Week 2
아무래도 저희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기획해야 하기 때문에 모빌리티 산업의 현업 실무자분의 강의를 듣습니다.
이 주에 AI, 모빌리티에 대한 이해를 위해 강의를 듣고 기획에 필요한 페르소나, 고객 여정 지도를 그려보기도 하고, 모빌리티 사업(서비스) 리서치를 한 후 AI를 활용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아이디에이션해보고 상위기획부터 화면설계서까지 간단하게 작성해보는 실습을 하기도 했습니다.
Week 3~7
- ChatGPT에 대한 리서치
- 모빌리티 산업 및 시장 분석, ChatGPT 적용 아이디어 도출
- ChatGPT 적용 아이디어 상위기획안, IA, 기능정의서 작성
- 이전 주차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기존 기획 문서 개선, 화면설계서 작성
- 최종적으로 기획 문서 개선
주차별로 이런 업무를 했습니다.
매주 실무자 분께 발표를 통해 보고하는데 저희 조에서는 매주 돌아가면서 조장을 했는데 발표 또한 조장의 역할이었습니다!
그래서 조장되면 업무시간 외에도 잔업이 꽤 많답니다....
후기
기획에 대한 교육을 들어본 적이 없고, 기획 쪽 업무가 궁금하다면 지원해보면 좋을 거 같아요!
아 물론 제가 기획 직무여서 그런거고 다른 직무도 비슷할 거 같습니다.
7주라는 짧은 기간동안 기획 직무의 전반적인 내용을 훑을 수 있습니다.
당연히 직무특화교육에서 1주일 배운 걸로 기획 문서에 대해서 잘 알 수는 없지만
그 부분은 일경험 기간동안 같은 조원분들과 함께 맞춰가면서 배우면 될거에요!
저희 조만 해도 기획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 틀을 잡고 같이 쌓아나갔습니다.
5주간의 일경험 기간동안 기획문서를 작성하고 피드백을 받으면서 기획 능력이 상당 부분 성장할 수 있을거에요!
물론 디자이너, 개발자랑 협업 경험은 할 수 없지만 그 전 단계까지 경험하기에는 충분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획 경험이 없으시다면 협업 전에 일경험에 참여해보는 걸 적극 추천드립니다.
다만 이번 과정에서 아쉬웠던 점은 5명이서 하는 기획이다보니 업무량이 너무 적다고 오판했습니다.
그래서 실무자분께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던져주는 걸 목표로 해서 너무 넓은 범위의 기획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기획이던 조금씩 애자일하게 쪼개서 진행해야 하는 법인데 이번에는 그러지 못했네요.
너무 넓은 범위로 기획해서 생긴 문제가 몇가지 있습니다.
넓은 범위의 기획으로 인한 문제
1. 전체적인 기획 퀄리티가 떨어집니다.
아이디어가 하나라도 구체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엄청나게 많은데 저희는 5개의 아이디어를 기획했어요.
절반 넘게 솎아내기는 했지만 아무래도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라 비판하기 조심스러웠던 거 같습니다. 아이디어마다 IA, 기능정의서, 화면 설계서를 만들면서 최종 보고 때 화면 설계서만 26장이 나왔어요...
2. 팀원 간에 작업물을 크로스체크하기 힘들었습니다.
각자 분량이 너무 많다보니 다른 팀원의 작업물을 크로스체크 할 시간에 일단 제가 맡은 부분의 기획 문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뒤늦게 팀원 간에 다르게 이해하고 있던 부분을 발견하게 되고 되돌리기에는 공을 너무 많이 들인 상태였습니다.
3. 뾰족한 피드백 불가
최종 보고 때 PPT 총 페이지 수가 56장이었습니다.
발표시간은 10~15분으로 제한되어있는데 이 시간 안에 모두 자세히 보고하기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실무자 분도 분량이 너무 많아서 디테일하게 피드백하기는 힘들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차라리 기능 1개를 굉장히 구체적이게 기획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하고 똑똑한 조원들을 만나서 즐겁게 진행했습니다.
그래서 12월 27일에 만나서 회식하기로 했답니다!
비대면으로만 봐서 실제로 보면 어색할지도 모르겠어요 ㅋㅋㅋㅋ
벌써 기대됩니다.
그럼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혹시 코멘토에서 하는 일경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정성스레 답해드리겠습니다!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내일 일경험 지원사업 X 휴맥스 모빌리티 면접 후기 (3) | 2023.10.26 |
---|